경제용어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

Aiden(에이든) 2021. 11. 29. 11:57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이하 ROA)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줍니다.

 

 

총자산이익률(ROA, 출처:https://philliphong0724.tistory.com/56)

 

A 기업 : 당기순이익 1억 / 총자산 10억 * 100 = 10%
B 기업 : 당기순이익 2억 / 총자산 20억 * 100 = 20%

 동종산업에 대해 ROA가 지속적으로 높다는 것은 경영진의 자산배분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ROA가 낮은 기업의 경우 주가가 낮게, ROA가 높은 기업의 경우 주가가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단, 성장산업과 성숙산업, 사양산업 등 산업별 성장 단계와 제조업 및 서비스업 등 업종별 부가가치 수준에 따라 ROA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기업의 ROA 수준이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하려면 동종산업 내 다른 기업과 ROA를 비교해야 합니다.

 

 또한 총 자산이라는 것은 엄연히 자본과 부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본이 대폭 감소하거나 부채가 대폭 감소한 경우 단기간 ROA가 높게 나오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할 때에 확인을 해야할 사항입니다.
 ROA 분석 시 반드시 기업의 자본과 부채 변동 사항을 동반해서 검토하여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