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 PBR)

Aiden(에이든) 2021. 11. 12. 10:20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 이하 PBR)주가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이하 BPS)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출처 : https://philliphong0724.tistory.com/51)

 

2021.11.08 - [재테크] -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BPS)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BPS)

 PER(주가수익률, Price Earnings Ratio)와 같이 많이 사용되는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to-Book Ratio)를 알아보기 전에 PBR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이하 BPS)를 알아보..

aidenkim1225.tistory.com

 

A기업 : 주가 2,000원 / BPS 1,500원 = 1.333 ...
즉, A기업의 PBR은 1.3이 됩니다.

 

 PBR은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이하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주가는 그 회사의 종합적인 평가이므로 주주 소유분을 초과한 부분은 모두 그 회사의 잠재적인 프리미엄이 되기 때문에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는 PBR이 그 회사를 저량(stock)면에서 보고 있는데 반하여 PER은 유량(flow)면에서 보고 있으므로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습니다.

 

2021.10.21 - [재테크] -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PER)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PER)

 재테크로 주식을 시작하면서 유투브 동영상을 보거나 보고서, 블로그 등에서 종목을 설명할 때 제일 많이 언급되는 것 중에 하나로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이하 PER)가 있습니다. 저도 종

aidenkim1225.tistory.com

 

 다만 이 주가 순자산배율에도 주주소유분이 장부가격에 의해 계산되고 있어 반드시 정확하다고 할 수 없고 또 그 계산기준이 전기의 결산기가 된다는 등의 난점이 있습니다.

 

 PBR이 1미만이라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 때문에 PBR이 1미만인 기업을 덥석 매수해서는 안됩니다. 이유는 기업의 자산은 정확히 측정할 수가 없기 때문이고, PBR이 1미만인 것은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이지 청산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PBR은 부채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특히 경기민감주의 경우에는 PBR을 유심히 봐야합니다. 경기민감주는 고점에서 최대실적을 기록하며 PER이 10미만이 되기 때문에 PBR로 고점을 판단해야 한다고 합니다.

 

 항상 한가지 지표만 가지고 기업을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언제나 다른 지표들도 고려해야한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