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수익률 3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 PBR)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 이하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이하 BPS)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합니다. 2021.11.08 - [재테크] -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BPS)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BPS) PER(주가수익률, Price Earnings Ratio)와 같이 많이 사용되는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to-Book Ratio)를 알아보기 전에 PBR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 이하 BPS)를 알아보.. aidenkim1225.tistory.com A기업..

경제용어 2021.11.12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EPS)

지난 글에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이하 PER)을 올렸는데, PER를 구하기 위해서는 오늘 작성하는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이하 EPS)가 필요합니다. EPS를 먼저 적을 걸 그랬습니다. 그래도 저는 종목을 볼 때 PER를 제일 먼저 봐서..... EPS는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A기업 : 순이익 1,000원 / 발행주식 10,000개 = 0.1 당연히 EPS가 높으면 실적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자 매력이 상승합니다. 하지만 EPS는 현재주가의 가격과 함께 비교해 주어야 의미가 있는데, EPS 대비 현재 주식 가격이 저렴할 경우 저평가여겨 집니다. 그래서 EPS는 주로 PER을 계산하기 위한 값으로 이용하고 단독으로..

경제용어 2021.10.28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PER)

재테크로 주식을 시작하면서 유투브 동영상을 보거나 보고서, 블로그 등에서 종목을 설명할 때 제일 많이 언급되는 것 중에 하나로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이하 PER)가 있습니다. 저도 종목을 선택할 때 PER를 꼭 체크합니다. PER은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A기업 : 주가 10,000원 / 1주당 순이익(EPS) 1,000원 = 10 B기업 : 주가 5,000원 / 1주당 순이익(EPS) 1,000원 = 5 즉, 두 기업은 이익은 같지만, A기업의 주가가 B기업의 주가보다 두배로 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R은 당기순이익 크기에 관계없이 주식가치의 기업간, 기간간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경제용어 2021.10.21
728x90